서비스명 | 레이어명 |
---|---|
lv3_2020_g |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2020년 전국 현행화 (구축) |
lv3_10th_g |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2019년 전국 현행화 (구축) |
lv3_9th_g |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8차 전라남도,광주광역시 (구축) |
lv3_8th_g |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8차 강원, 충북 (구축) |
lv3_7th-2_g |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7차 전북 (구축) |
lv3_7th_g |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7차 (구축) |
lv3_6th-2_g |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6차 세종시 (구축) |
lv3_6th_g |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6차 (구축) |
lv3_1st_renew_g |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1차 (갱신) |
lv3_5th_g |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5차 (구축) |
lv3_4th_2_g |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4차 (갱신) |
lv3_4th_g |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4차 (구축) |
lv3_3rd_g |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3차 (구축) |
lv3_2nd_g |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2차 (구축) |
lv3_1st_g |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1차 (구축) |
lv2_2018_g | 중분류 토지피복지도 2018년(세분류 변환) |
lv2_2013_g | 중분류 토지피복지도 2013년 |
lv2_2009_g | 중분류 토지피복지도 2009년 (2차 갱신) |
lv2_2007_g | 중분류 토지피복지도 2007년 (1차 갱신) |
lv2_2000_g | 중분류 토지피복지도 2000년 ~ 2004년 (구축) |
lv1_2010yr | 대분류 토지피복지도 2010년대 말 |
lv1_2000yr | 대분류 토지피복지도 2000년대 말 |
lv1_1990yr | 대분류 토지피복지도 1990년대 말 |
lv1_1980yr | 대분류 토지피복지도 1980년대 말 |
url : 'http://egisapp.me.go.kr/geoserver/wms?' ,params : {'LAYERS' : 'EGIS:lv1_1980yr', 'TILED' : true, 'SRS' : 'EPSG:900913' }
다음의 html 코드는 "1980년대 대분류토지피복도"를 표시하는 예시입니다.
<!DOCTYPE html> <html> <head> <meta charset="utf-8"> <meta content="IE=edge" http-equiv="X-UA-Compatible"> <title>토지피복지도 예제</title> <style type="text/css"> html, body, #map { margin: 0; padding: 0; width: 100%; height: 100%; } </style> <link rel="stylesheet" type="text/css" href="http://openlayers.org/en/v3.11.1/css/ol.css"> <script src="http://openlayers.org/en/v3.11.1/build/ol.js"></script> </head> <body> <div id="map"></div> <script type="text/javascript"> var map = new ol.Map({ target : 'map', layers : [new ol.layer.Tile({ source : new ol.source.TileWMS({ url : 'http://egisapp.me.go.kr/geoserver/wms?' ,params : {'LAYERS' : 'EGIS:lv1_1980yr','TILED' : true,'SRS' : 'EPSG:900913'} }) })], view : new ol.View({ center : ol.proj.transform([ 127, 36.5 ], 'EPSG:4326', 'EPSG:900913') ,zoom : 7 ,enableRotation : false }) }); </script> </body> </html>